This site uses cookies.
Some of these cookies are essential to the operation of the site,
while others help to improve your experience by providing insights into how the site is being used.
For more information, please see the ProZ.com privacy policy.
This person has a SecurePRO™ card. Because this person is not a ProZ.com Plus subscriber, to view his or her SecurePRO™ card you must be a ProZ.com Business member or Plus subscriber.
Affiliations
This person is not affiliated with any business or Blue Board record at ProZ.com.
Korean to English: 협동학습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학습전략 General field: Social Sciences Detailed field: Education / Pedagogy
Source text - Korean 요약
본 연구는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의 활성화로 인하여 기업교육 패러다임의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 기업에서 요구하는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의 요소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기업교육의 변화는 기업의 다원화, 분업화 와 인터넷을 통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 협력학습의 형태의 학습을 선호하고 있다.
기업교육의 특성인 다자간 상호작용 및 집단지성을 활용은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학습자는 조직중심의 단순 학습 참여자에서 개인 중심의 교육콘텐츠 생산자 및 소비자로 변화하며, 학습의 형태는 기존의 정형화된 훈련방식에서 벗어나 비정형화되고 지능형 맞춤 학습과 실제적 학습의 요구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수자의 역할도 변화하게 되었다.
그동안 수동적인 교강사 역할에서 적극적으로 훈련생의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하는 교강사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스마트러닝 훈련생들의 다양하면서도 질 높은 훈련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훈련생의 ‘성과’중심의 관점에서 다양하고 창의적 형태의 훈련과정 개발함에 있어 협동학습을스마트러닝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자기주도적 참여활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요소들을 문헌분석을 통해 고찰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주제어: 스마트러닝, 협동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Ⅰ. 서론
1.연구의 배경과 목적
원격교육이 정보사회로의 전환과 웹 기술의 발달로 교육기회의 확대와 효율성의 제고라는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으로 부각되면서 오늘날 개방대학이나 방송통신대학 등과 같은 새로운 고등교육부문과 기업체 연수 및 통신강좌 등과 같은 사회교육 프로그램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급속도로 확산되어왔다. 원격교육이 제공하는 디지털화된 교육용 콘텐츠는 반복학습과 비용절감, 양방향성을 보장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육 기회를 제공 한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의 활성화로 인하여 기업교육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기업교육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능력을 향상시켜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프로세스이며(이정환 외,2013;Mathieu J, E1992), 기업의 다원화, 분업화 와 인터넷을 통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역량과 기업의 목표 달성을 위해 협력학습의 형태의 학습을 선호하게 되었다.
기업교육의 방향은 일방향 지식전달에서 다자간 상호작용 및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학습자는 조직중심의 단순 학습 참여자에서 개인 중심의 교육콘텐츠 생산자 및 소비자로 변화하고, 학습의 형태는 정형화된 학습에서 비정형화되고 지능형 맞춤 학습과 실제적 학습의 요구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15년 11월 고용노동부 고시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규정을 전부 개정 고시하는 등 정부는 기존 원격교육의 기준체계 개편과 함께 스마트러닝 훈련의 정의 규정을 마련하고 적극적 지원에 나섰다. 또한 직장인이나 실업자들이 기존의 정형화된 훈련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 기기의 기술적 요소를 활용하여 특성화된 교수방법 적용 등 기존의 ‘효율성’관점에서 훈련생 ‘성과’중심으로 관점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양하고 창의적 형태의 훈련과정 개발 장려와 특성화된 교수설계방법을 현장에 맞춰 유연성 있게 설계한 훈련과정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 그동안 수동적인 교강사 역할에서 적극적으로 훈련생의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하는 교강사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스마트러닝 훈련생들의 다양하면서도 질 높은 훈련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이해와 경험부족으로 1분기가 끝난 지금도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획일화된 개발방법으로 인한 학습자 만족도 저하 및 일방적 학습 진행, 개별화되지 못한 학습서비스를 개선하고 수요자 중심적 서비스 형태인 협동학습을 스마트러닝에 적용하여 과제와 실습, 토론 등 훈련생 참여활동 등을 통해 학습이 전개되는 스마트러닝 기반 학습유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서 훈련생의 ‘성과’중심의 관점에서 다양하고 창의적 형태의 훈련과정 개발함에 있어 협동학습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프로그램에서 자기주도적 참여활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요소들을 문헌분석을 통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 연구문제>
협동학습을 활용한 스마트러닝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자기주도적 참여 활동을 이끌어내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러닝
1) 스마트러닝의 배경 및 필요성
스마트 러닝은 교실수업에 비해 시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고 그로 인해 협력적 학습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닝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이를 보다 확장하거나 변화 시키는 양면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강인애 외, 2012; Arney,2008).
일반적으로 소셜미디어는 정보가 소비자를 위해 소비자에 의해 만들어지고 쓰여 지는 매체로라고 할 수 있고 웹 1.0에서의 일방적 정보제공기반의 형태가 웹 2.0으로 진화해 가면서 개방, 협력, 참여, 공유 등의 상호소통 가능한 플랫폼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플랫폼의 특징으로는 개인의 소유와 독점 없이 콘텐츠의 재생산과 공유가 가능하게 되고 누구나 콘텐츠의 제공자와 소비자가 될 수 있는 기반이 제공되었다. 대표적으로 Youtube, wikipedia, facebook, blog등이 있다. 한편 2010년을 기준으로 웹 3.0 즉 시만텍 웹 시대가 도래 하면서 인간의 두뇌처럼 똑똑한 웹, 필요한 정보만을 능동적으로 자문해 주는 기술로서 개인적인 정보에 기반을 둔 단순한 맞춤형 서비스에서 출발하여 소셜 기반 빅 데이터 분석에 이르러 우리가 입력하지 않아도 나에게 자동적으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점차 발전해 가고 있다. 즉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호작용에서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발전으로 정보통신 매체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정보접근이나 의사소통을 하는 학습자가 늘어가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적극적인 사회적 인식이 스마트교육 환경의 급속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이영근, 2012). 산업통상자원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조사한 2015년 이러닝 산업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스마트러닝 경험율은 2011년 18.4%에서 2015년 59.8%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스마트러닝 선호분야로는 외국어 43.5%, 직무 28.9%, 기본소양 10.9%로 나타났으며 학습시간 역시 2014년 1.76시간에서 2016년 3.33시간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스마트러닝의 학습률 증가와 선호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이러닝의 한계성으로 스마트러닝의 한계성 역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이러닝의 불편사항으로는 학습집중력이 떨어진다 26.5%, 질문등의 불편 23.7%, 교육친화적이지 못함 14.5%, 오프라인 대체교육효과 낮음 13.4%로 이러닝의 학습 특성상 오프라인보다 집중력이 떨어진다는 온라인 교육의 문제점을 느끼고 있으며, 오프라인 대비 질의응답의 불편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러닝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스마트러닝의 학습자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신속한 피드백과 오프라인에서 표현할 수 없는 온라인만의 강점을 활용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미디어의 다양성과 학습활동에서의 활발한 상호작용성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원하는 환경에서 학습을 가능케 하는 스마트러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스마트러닝이란 첨단 모바일 기기를 교육에 활용하고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등 다양한 앱을 활용하여 학습 정보 교환 및 공유, 집단지식 축적과 협력학습, 사이버 학습을 통한 공동체 형성하는 것이다. 스마트러닝을 활용하는 학습자는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지성을 발현하고 협업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2). 스마트러닝과 기업교육
기업교육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능력을 향상시켜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프로세스이다(이정환 외,2013;Mathieu J, E1992).
2010년대 이후부터 기업은 이러닝의 즉시성 접근편리성을 고려하여 기업교육으로 많이 활용 하고 있다. 기업교육의 방향은 일방향 지식전달에서 다자간 상호작용 및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고 인적자원 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다른 경쟁 기업과 차별화 하고자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중심의 학습을 활용하여 직무연수와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이정환 외, 2015). 기업의 다원화, 분업화 와 인터넷을 통한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다른 부서의 팀이나 협력기업의 팀과 함께 처리해야 하는 일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 할때에 서로 협동하며 온라인 토론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조성문 외,2012).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학습을 활용한 기업교육의 요소로는 집단지성의 활용, 다자간 상호작용,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 실생활과 관련된 현장 중심 학습, 협업과 소통의 학습시스템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기업교육은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실생활과 연관 있는 현장 중심교육을 다룬다. 학습시에는 학습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하고 개인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연결성(Connectivity) 제공하여야 하며 업무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학습자들이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해결한다.
2. 협동학습
협동학습이란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소집단을 구성하여 서로 돕고 협력하는 가운데 공동의 학습목표를 달성하면서 자신과 동료의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학습법이다(김정랑 외,2014; Sujin Park, 2000). 협동학습은 전통적 학습에 비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방법으로 탐구나 발견 등 고급사고력이 배양 될 수 있고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속감, 책무성, 다양성의 존중 등과 같은 덕목을 습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21세기 지식사회에 적합한 교육방범으로 인식되고 있다.(강명희 외, 2008 ;강옥미, 2000)
또한 협동학습은 개별학습의 약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상호의존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강조하여 학업성취를 증대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인 면에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최용훈 외, 2010; 정문성,2002;Slavin, 1990).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협동학습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대화 및 토론이 가능하다는 점, 학습자들이 학습활동에 균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된다는 점,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성화 되어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촉진 시킨다는 점, 다양한 참조체계를 활용한 협동학습이 가능하다는 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향상시킨다는 점 등의 여러 가지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왕경수, 2003).
이를 종합하면, 집단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별적 책무성을 가지고 구성원들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구성원 모두가 학습목표에 도달하도록 하는 협동학습은 전통적 학습에서 이루어지던 협동학습에 비해 학습자간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강조하며 소속감, 책무성, 다양성의 존중을 요구한다.
3. 자기주도적 학습
1) 자기주도적 학습
자기주도학습은 풍부한 경험, 학습에 대한 준비성을 가지고 있고 성인학습자의 원활한 학업수행을 돕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이의길,2013; Smith, Murphy, & Mahoney, 2003).
Knowles(1975)에 의하면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타인의 도움에 관계없이 자신의 학습요구를 진단하고, 학습목표를 계획하며, 학습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을 확인하고,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실행하며 학습결과물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주도권을 갖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자기주도학습은 자기관찰, 자기관리, 동기의 세 요소가 작용하는 개념으로(Garrison, 1997) 한 개인이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있어 계획(planing), 점검(monitoring), 자기규제(regulation), 반성(reflection)하는 과정이다. 이에 더하여 송인섭(2006)은 자기주도 학습의 구성요인을 동기조절(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인지조절(정교화, 조직화, 계획, 점검, 평가), 행동조절(행동통제, 시간조절, 도움요청) 으로 설정하였다(서성원 외, 2013). 또한
김영미 외(2009) 에 의하면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소는 학습자의 내적•외적요인과 과정적 측면 으로구분될 수 있다. 학습자의 내적, 외적측면은 개방성, 자아개념, 내재적 동기, 자율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 등이 있고, 학습자의 과정적측면은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 등이 있다.
즉,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메타인지적 행동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김미혜, 201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낮은 학습자보다 자신의 학습을 관리하고 메타인지적인 모니터링과 통제력이 더 높아 학업성취도가 더 높다(오선아,2014;Zimmerman, 2002).
2) 기업에서 자기주도성의 필요성
자기주도적 학습은 지식의 공유, 상호간의 교류를 통하여 고립을 줄이고 학습공동체의 향상을 촉진시키며 궁극적으로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촉진시키는데 기여 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자기스스로 혹은 학습 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계획, 실행, 평가과정을 주도하고 관리하는 학습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에서의 비정형화되고 실제적인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의 창의성에 기반한 문제해결방식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직내 자기주도적 학습자의 학습을 위해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고 개인에게 맞는 수업 환경을 조성하여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되고 개인의 학습과정을 인지적으로 촉진시키며, 집단지성의 교류를 통하여 현장 중심 교육을 가능하게 하므로 사회적, 공동체적 학습과정에 기여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은 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 창의성, 인지적 측면으로의 정교화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기업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업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 학습시에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으로는 김영미 외(2009)가 구분한 학습자의 내적인 요인•외적인 요인 (개방성, 자아개념, 내재적 동기, 자율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자기평가), 학습자의 과정적 측면(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를 중심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인은 은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 창의성, 인지적 측면으로의 정교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주도적 학습요인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은 과제, 토론, 훈련 등의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다.
위 연구를 통해 기업교육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구성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내재적 동기는 흥미, 호기심과 같은 요인으로 학습의 결과보다는 학습활동자체가 보상으로 작용하는 것이며 이를 향상시키는 지침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수업내용 결정하기, 개인 맞춤형 정보제공, 스캐폴딩 설정하기,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대화적 학습 선호, 문제 중심형 학습 선호 등 이 있다. 이러한 지침을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기업교육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맞는 수준별 학습이 요구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속감, 책무성, 다양성의 존중 등이 요구되고 집단지성의 교류를 통하여 현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동영상, 텍스트기반 컨텐츠 등)를 활용해보는 것이 중요하고, 학습 환경의 활용, 아바타이용, 창의성 프로그램 활용, 통합적 상황에서의 창의성 등이 요구된다. 실제로 직무교육의 효과성이 저조한 것은 창의성 프로그램의 부재, 획일된 내용의 수업,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구성의 미흡 등으로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업교육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학습 분위기를 자유롭게 탐색하는 것이 요구 되며 매시간 학습과제와 활동 제공 창의적 기법제시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확산적 사고를 지원해야 한다,
셋째, 정보를 통합하고 보존하는 수단으로의 인지적 정교화를 위한 지침으로는 선행학습과 연관하여 생각하기, 학습순서 설정하기, 정교화된 구조의 게시판 제공하기, 정보의 범위를 축소하여 제공하기 등이 있다. 기업교육에서 인지적 정교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교화된 구조의 게시판을 활용하여 예시와 연습을 충분하게 제공하고 학습자들은 학습내용과 난이도를 본인에게 맞게 변경할 수 있으며 요약, 종합, 비유 등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교수전략 및 인지전략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 중심의 연구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추후 기업교육 대상자들의 심층면접과 전문가 검토를 거치는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 된다.
Translation - English
I. Foreword
1.Background and goals of the research
As Internet technology advances, distance learning is gaining popularity. Distance learning has huge benefits, such as increase i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efficient use of space and time. There are many new kinds of advanced learning institutions that utilize this technology. There are many open universities, and Korean government has opened an open university of its ow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lso many corporations have adopted distance learning as part of their personnel training.
Digitalized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provided via distance learn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tera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very cost-effective ways. Also, the content can be repeated as much as the student wants, so that the student may gain firm grasp of the concept. Advanced smart appliances, such as smart phones, are bringing such contents to ever more wide audience. There is a change of paradigm in corporate learning.
Corporate learning is a process that aim to improve the knowledge, skills, and ability that an organization's members need to do their work, so that the goal of the organization can be achieved. (Lee et al.,2013; Mathieu, J. E. et al,1992) In today's corporate culture of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is making cooperative learning more preferable.
Corporate learning is now trying to utilize the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participants and resulting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ers are now not just taking class, but they are actively producing and consuming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ing itself is now less standardized, and focus has shifted to intelligent and customized learning that emphasize increasing the actual performance at the job.
On November 2015,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as announced revision of provision o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The Korean government is changing its guideline regarding distance learning. The government also created provision regarding smart learning and training, and is actively trying to support smart learning.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viewpoint on vocational education, from 'efficiency' to 'result' of workers. To do so,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development of new specializ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at emphasize diversity, creativity, and fits the requirement of working environments.
Teachers who had once been a passive giver of knowledge are now becoming a facilitator, and this trend is supposed to increase the diversity and quality of smart learning educational programs. Yet firm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and lack experience in smart learning, despite the effort of the Korean government.
We aim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Decrease in student satisfaction due to standardized development of smart learning methods, unidirectional learning, and lack of attention to individual difference are problems that we want to fix. We want to develop a method of smart learning that focuses on the demand of learners, by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that makes the student participate actively.
To do so, we need to first look at the problem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by focusing on 'results'. Based on this viewpoint, we do literature analysis to discern the factors that motivat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learn with self-direction.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 smart learning program, that utilized cooperative learning to bring out self-directed participa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1. Smart Learning
1) Background on Smart Learning, and Why It Is Needed
Smart learning is a type of learning that is based on e-learning, which can promote interaction regardless of spatial and chronological constraint, and as a result promotes cooperative learning. It is more than just a e-learning; smart learning is an expansion, or transformation, of e-learning. (Kang et al., 2012; Arney, 2008)
Generally, one can say that social media is a medium of information exchange, in which the consumers produce information for other consumers. In Web 1.0, the information flow was unidirectional. In Web 2.0, platform services that enable open and cooperative environment that encourages participation and sharing has appeared.
The platforms that appeared in Web 2.0, such as YouTube, Wikipedia, Facebook, and blogs, features almost free reproduction and sharing of contents. Everyone can become a producer, and everyone can become a consumer.
Currently we are in Web 3.0. Web 3.0 has arrived around 2010, and is called as 'semantic web'. This means that the Web is like a human brain; that it actively gives out information to its users, but only when they require the information. Web 3.0, with big data based on social networks, is becoming a service which gives out the information one needs. This means that Web 3.0 is not just about inter-connectivity; it is about delivering the best contents that satisfy individual needs.
Such development is accompanied by increase in learners who use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smartphones to ge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cial consciousness about such change is bringing even more rapid change on smart learning environment. (Lee, 2012)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of e-learning industry in 2015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mart learning has increased from 18.4% in 2011 to 59.8% in 2015. This result shows how people are interested by smart learning.
Also, 43.5%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28.9% of job learning, and 10.9% of basic education consumers were shown to prefer smart learning in the said research. It was also forecast that the time spent to smart learning will increase from 1.76 hours in 2014 to 3.33 hours in 2016. As can be seen from these research, more people are taking smart learning classes and they like it. But smart learning shares some of e-learning's limitations as well.
As for the limitation of e-learning, 26.5% said that concentration is negatively affected, 23.7% said that it is hard to ask questions, 14.5% said that it is detrimental to education, and 13.4% said that e-learning cannot successfully replace off-line education. It seems that e-learning programs fail to command the same level of attention as that of off-line education, and also gives additional difficulties in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of e-learning an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of smart learning, one needs to focus on giving quick feedback, and utilizing the advantage of on-line programs to increase the level of attention. To do so, we must focus on smart learning, where students a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via diverse mediums to learn from curricula that are personalized to meet their need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we can say that smart learning is an learning activity where smart mobile appliance is utilized for education. It uses applications and other contents to share information, collect collective intelligence, promote cooperation, and produce a community of learners via cyberlearning. Students utilizing smart learning can use diverse forms of interactions that accompany smart learning to promo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use cooperation to solve their problems.
2) Smart Learning and Corporative Learning
Corporative learning is a process where members of an organization learns the necessary knowledge, technology and ability for accomplishing his job to help attain the goal of said organization. (Lee et al, 2013; Mathieu J. E., 1992)
Since around 2010, corporations around the world paid attention to instantaneity and accessibility of e-learning. Many corporations have adopted e-learning as part of their corporate education programs.
Corporate education is changing from unidirectional passing of knowledge to utilizing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individual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o motivate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so that competitive edge of human resources is increased. Corporations are using applications that focus on content based learning in both job training and team projects, to differentiate from other companies. (Lee et al, 2015)
Considering that corporations are undergoing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and that there are more occasions where one needs to work with other teams from different department or even different corporations due to evolution of IT technology, it is recommended that corporations cooperate together and have on-line discussion sessions. (Cho et al., 2012)
From literature analysis, we can learn that factors of smart learning in corporate environment are: usage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field-based learning that focuses on real life, and learning system that is based o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Corporate learning via smart learning utilized collective intelligence to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and it deals with field-based learning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It also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tudents, and it fits individual needs. There is connectivity, in sense that one can receive education when they want to. The problems that may occur within work are solv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2.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eans that different students form a small group to achieve common learning goals, helping each other and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Kim et al., 2014; Sujin Park, 2000)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focused on students than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ts strengths are as follows: that advanced thinking ability can be improved, and positive feedback between the others and sharing of ideas may bring added benefit of having sense of belonging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recognizing the diversity. This makes cooperative learning a better method for the 21st century. (Kang et al., 2008; Kang et al., 2000)
Also, cooperative learning can nullify the weakness of individual learning, promoting interdependence between students and improving their self-motivation to study.
Such cooperative learning affects cognitive and emotional side of the learners, and affects positively towards learning. (Choi et al., 2010; Chung et al., 2002; Slavin, 1990)
Cooperative learning with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one can have conversation and discussion without spacial and chronological limitations. Second, the participants are given equal opportunity to participate. Third, social interaction promotes active participation. Fourth,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participate in cooperative learning. Fifth, the network helps in promoting communicative skills. (Wang, 2003)
In sum, cooperative learning enables its members to achieve goals by helping each other. It emphasizes on communicative skills, as well as respecting sense of belonging, obligation and diversity.
3. Self-Directed Learning
1)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is one of the factors that help in education of an adult student who has experience and is ready to learn. (Lee, 2013; Smith, Murphy, & Mahoney, 2003)
According to Knowles(1975), self-directed learning is one where the learner diagnoses his own demand for education, plan and set goals of the education, acqui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choose appropriate educational strategy, and appraise the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is a concept where self-observation,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are crucial(Garrison, 1997). It is a process where an individual uses planning, monitoring, regulation, and reflection to understand and solve the given problem.
Insub Song (2006) identifies the 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as follows: motivation control(self-efficacy, goal oriented-ness), cognitive control(elaboration, organization, planning, inspection, evaluation), and behavior control(controlling behavior, organizing time, asking help). (Seo et al., 2013) Also, Youngmi Kim classified the factors as procedural and learner-based aspects, of which the latter is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Kim et al., 2009)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include openness, self-conception,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evaluation. The procedural aspect include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on of learning process.
Self-directed learning is a meta cognitive process that the student controls and manages his own learning process (Kim, 2011), and students who have higher level of self-directive learning capabilities will have higher level of achievement because they can better control their learning process from meta cognitive monitoring and regulation. (Oh, 2014; Zimmerman, 2002)
2) The Need for Self-Direction within Business
Self-directed learning reduces isolation by interpersonal exchange and sharing of knowledge. It also promotes an educational community, which ultimately facilitates active participation towards the learning process.
In self-directed education, the student has to meta cognitively plan, execute, and evaluate his educational achievement, either by himself or with the others. Such meta cognitive problem solving can be used in business environment, where non-standardized and practical problems requiring creative solutions are abound.
Thus, using smart learning with self-directed learning together can bring together the best of two worlds, where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receive personalized educational feedback, meta cognitively promote the learning process, utilize and share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is focused on practical problem solving,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social and communal learning process.
By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it seems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composed of internal motivation, creativity, and cognitive elaboration.
III. Conclusion
In this research,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cooperative learning with smart learning within corporate learning environment. We tried to identify the effectivity of such learning strategy, and also identify factors that motivate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For the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we referred to Youngmi Kim's internal/external (openness, self-conception,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evaluation) and procedural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on of learning process) factors. From the literature review, we have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composed of internal motivation, creativity, and cognitive elaboration.
These factors can be used to help students. The strategy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within corporate environ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having an interest or becoming curious, comes from not the result, but from the learning process itself. There are many ways to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such as: letting the student direct his own learning process, giving personalized information relevant to the learning process, setting up a scaffold, giving instantaneous feedback, promoting dialogue in learning, and preferring problem oriented learning.
To apply these in smart learning within business settings, business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level of students. They should learn sense of belonging, duty, and respect of diversity, while sharing their ideas and uti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 to solve the problems they will face on everyday working environment.
Second, to increase the creativity, there is a need to use and experience diverse content via different mediums and different types of learning programs. Many on the job training programs fail because they do not promote creativity. Often the program is too standardized, not letting creativity to flourish.
This is why the teacher is important in business education. They should communicate well, so that students feel comfortable. They also should give out assignments and information that help their students to think divergently.
Third, there is a need for cognitive elaboration that integrates and preserves information. To meet this need, one may relate to prior learning experience, set the order of learning, provide elaborate bulletin system, and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ovided appropriately.
To enhance cognitive elaboration in business education, bulletin system can be used to provide many examples and practice exams, so that students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achievement. It may be used as a tool to provide summaries, synthesis, and comparisons, in order to let students choose appropriate learning and cognitive strategies for themselves.
Because this research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generalization our result may be limited.
Potentially fruitful further research direction would be to focus on in-depth interview of students receiving vocational training and analyzing the responses.
More
Less
Experience
Years of experience: 8. Registered at ProZ.com: Sep 2016.